ㄱ
- 가소성
- 점토가 변형되거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성질을 의미합니다. 도예에서 성형의 기본이 되는 중요한 특성입니다.
- 가마
- 도자기를 굽는 시설로, 전기가마, 가스가마, 장작가마, 톱밥가마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 가죽 경도
- 성형된 점토가 반건조 상태로, 가죽처럼 약간 단단하고 유연한 상태를 말합니다. 정형 작업을 하기에 가장 적합한 상태입니다.
- 각화
- 도자기 표면에 문양을 조각칼로 새기는 장식 기법입니다.
- 고령토
- 백자의 원료로 사용되는 흰색 점토로, 카올린(kaolin)이라고도 합니다. 내화성이 높고 순수한 백색을 띱니다.
- 고온소성
- 1200℃ 이상의 높은 온도에서 도자기를 구워내는 과정으로, 자기나 석기를 제작할 때 사용됩니다.
- 고화도 소성
- 1200℃ 이상의 높은 온도에서 도자기를 구워내는 방식으로, 자기나 석기를 만들 때 사용됩니다.
- 굽
- 도자기의 밑부분에 있는 받침 부분으로,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게 해줍니다.
- 귀얄기법
- 붓으로 화장토를 바르는 전통적인 분청사기 장식 기법으로, 자유로운 붓 자국이 특징입니다.
ㄴ
- 녹로
- 도자기를 성형할 때 사용하는 회전판. 전기로 작동하는 전기녹로와 발로 돌리는 물레로 구분됩니다.
- 납유
- 납을 함유한 유약으로, 낮은 온도에서 용융되며 광택이 풍부합니다. 현대에는 독성 때문에 사용이 제한됩니다.
- 내화갑
- 고온 소성 시 도자기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내화성 받침대입니다.
- 내화벽돌
- 고온에 견딜 수 있는 특수 벽돌로, 가마의 내부 구조를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
ㄷ
- 달걀껍질 백자
- 매우 얇고 투명한 백자로, 빛을 통과시킬 정도로 얇게 제작된 고급 백자를 말합니다.
- 도침
- 점토를 반죽하고 공기를 빼는 작업을 하는 판으로, 성형 전 준비 과정에서 사용됩니다.
- 도화선
- 도자기에 그림을 그릴 때 사용하는 선을 의미하며, 주로 철화나 청화 장식에서 활용됩니다.
- 돌가루유
- 돌을 가루 내어 만든 유약으로, 전통 도자기에서 자연스러운 질감을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 두께 게이지
- 점토의 두께를 측정하는 도구로, 일정한 두께로 성형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ㄹ
- 랍뜨기법
- 밀랍을 이용해 도자기 표면에 장식하는 전통 기법입니다. 밀랍이 발린 부분은 유약이 스며들지 않아 독특한 패턴을 만들어냅니다.
- 러그 도구
- 점토 표면에 질감을 주거나 다듬기 위해 사용하는 리블 도구의 일종입니다.
- 리덕션
- 환원 소성을 의미하며,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 도자기를 굽는 방식입니다. 구리 발색 유약이나 청자 유약에서 특히 중요합니다.
ㅁ
- 물레
- 점토를 성형하는 데 사용하는 회전 장치로, 전통적으로는 발로 돌리는 형태였으나 현대에는 전동식이 많이 사용됩니다.
- 물레성형
- 회전하는 물레 위에서 점토를 성형하는 방식으로, 원통형 용기를 만드는 데 효과적입니다.
- 모골
- 청화백자 같은 안료 그림을 그릴 때 사용하는 가는 붓을 지칭합니다.
- 무늬 롤러
- 점토 표면에 반복적인 패턴을 찍어내는 데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 문양토
- 다양한 안료를 섞어 만든 색깔 있는 점토로, 여러 색상의 점토를 혼합하여 문양을 만들 때 사용합니다.
ㅂ
- 백자
- 하얀 백토로 만들어진 도자기로, 순백의 아름다움을 가진 한국 도자기의 대표적인 유형입니다.
- 분청사기
- 흰 흙물을 바른 회청색 도자기로, 자유로운 문양과 장식이 특징인 한국 전통 도자기입니다.
- 비스크 웨어
- 유약을 바르기 전에 초벌구이한 도자기를 의미합니다.
- 박지기법
- 분청사기의 장식 기법 중 하나로, 백토로 표면을 덮은 후 문양 부분의 백토를 긁어내어 문양을 드러내는 방식입니다.
- 바퀴 트림
- 물레 위에서 굳은 그릇을 다시 회전시켜 바깥면을 다듬는 작업입니다.
- 벌집 구조
- 가마 내부에 도자기를 효율적으로 적재하기 위한 선반 구조를 말합니다.
ㅅ
- 소성
- 점토를 굽는 과정으로, 초벌소성과 재벌소성으로 나뉩니다. 온도와 시간에 따라 도자기의 특성이 결정됩니다.
- 시유
- 도자기의 표면에 유약을 바르는 과정을 말합니다. 디핑, 스프레이, 붓칠 등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 상감기법
- 도자기 표면에 문양을 파내고 다른 색의 흙으로 메우는 장식 기법으로, 고려청자의 대표적인 기법입니다.
- 석기
- 1100-1300℃ 사이에서 구워지는 단단한 도자기로, 수분 흡수율이 낮고 내구성이 높습니다.
- 수레질
- 점토를 반죽하는 과정으로, 점토 내의 공기를 제거하고 균일한 상태로 만듭니다.
- 스그라피토
- 도자기 표면에 화장토를 바른 후 긁어내어 문양을 만드는 장식 기법입니다.
- 슬립
- 점토를 물에 개어 만든 액체 상태의 점토를 말하며, 접착제나 장식 재료로 사용됩니다.
- 슬립캐스팅
- 석고 틀에 액체 상태의 점토를 부어 성형하는 방법으로, 동일한 형태를 반복 생산할 때 유용합니다.
ㅇ
- 연질 도자기
- 낮은 온도(1100°C 이하)에서 구워진 도자기로, 경질 도자기보다 부드럽고 약한 성질을 가집니다.
- 옹기
- 주로 저장용으로 사용되는 전통 도자기로, 숨을 쉬는 특성이 있어 발효식품 저장에 적합합니다.
- 유약
- 도자기 표면에 바르는 유리질 재료로, 방수성과 내구성을 높이고 장식 효과를 줍니다.
- 유탁
- 유약을 물에 개어 액체 상태로 만든 것을 말합니다. 시유 작업에 사용됩니다.
- 유환원
- 유약 속 금속 성분이 환원되어 특정 색상으로 발색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 이중벽
- 도자기의 내부와 외부에 이중으로 벽을 만드는 기법으로, 보온성과 디자인적 특성을 높입니다.
- 이장
- 액체 상태의 점토로, 주로 슬립캐스팅에 사용됩니다.
ㅈ
- 자기
- 높은 온도(1200°C 이상)에서 구워진 백색 도자기로, 단단하고 반투명한 특성을 가집니다.
- 정형
- 성형 후 기물의 형태를 다듬는 작업으로, 굽 깎기, 면 다듬기 등의 과정이 포함됩니다.
- 점토
- 도자기의 주 재료로, 흙과 물의 혼합물입니다. 다양한 종류와 특성이 있습니다.
- 장석유
- 장석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약으로, 전통 도자기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 조각 도구
- 점토 표면에 무늬를 새기거나 세부 형태를 다듬는 데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 주입 성형
- 액체 상태의 점토를 틀에 부어 성형하는 방법으로, 복잡한 형태나 중공 구조를 만들 때 사용합니다.
ㅊ
- 청자
- 비취색의 유약이 특징인 고려시대 대표 도자기로, 우아한 형태와 비색(翡色)이 특징입니다.
- 초벌구이
- 유약을 바르기 전 낮은 온도(800-900°C)에서 첫 번째로 구워내는 과정입니다.
- 청화
- 코발트 안료로 그림을 그린 후 투명유를 발라 굽는 청화백자 장식 기법입니다.
- 철화
- 산화철 안료로 그림을 그린 후 유약을 발라 굽는 장식 기법입니다.
- 채토
- 도자기 재료로 사용할 흙을 캐는 작업을 말합니다.
ㅋ
- 코일링
- 점토를 긴 끈 모양으로 만들어 쌓아올리며 성형하는 수작업 기법입니다.
- 크랙 유약
- 의도적으로 유약 표면에 균열 효과를 내는 특수 유약으로, 장식적 요소로 활용됩니다.
- 콘 온도계
- 가마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원뿔 모양의 도구로, 특정 온도에서 녹아내리는 성질을 이용합니다.
ㅌ
- 테라코타
- 산화철이 풍부한 붉은 점토로 만든 도자기로, 주로 낮은 온도에서 소성됩니다.
- 투명유
- 색이 없고 투명한 유약으로, 도자기 본체의 색과 질감을 그대로 살리면서 광택을 더합니다.
- 틀 성형
- 미리 만들어진 틀을 이용해 도자기를 만드는 방식으로, 일관된 형태를 대량 생산할 때 효과적입니다.
ㅍ
- 파이어링
- 도자기를 가마에서 굽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 핀칭
- 점토를 손으로 꼬집고 눌러 성형하는 기본적인 수작업 기법입니다.
- 편 수집
- 깨진 도자기 조각(편)을 수집하고 연구하는 고고학적 활동을 말합니다.
- 피팅
- 유약이 터지거나 벗겨지는 현상으로, 점토와 유약의 수축률 차이로 인해 발생합니다.
ㅎ
- 항아리
- 저장용 큰 그릇으로, 주로 음식물이나 곡식 보관에 사용되었던 전통 도자기 용기입니다.
- 흙물
- 점토를 물에 풀어 만든 액체로, 도자기 부분을 접합하거나 표면을 장식할 때 사용합니다.
- 화장토
- 도자기 표면에 바르는 흰색 또는 유색의 점토 슬립으로, 바탕색을 만들거나 장식 효과를 줍니다.
- 환원 소성
-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 도자기를 구워내는 방식으로, 특정 유약의 발색과 질감에 영향을 줍니다.
- 혼합 점토
- 여러 종류의 점토를 혼합하여 원하는 특성을 얻은 점토를 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