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예용어집

도예를 배우는 과정에서 자주 사용되는 용어들을 정리했습니다.

가소성
점토가 변형되거나 형태를 유지할 수 있는 성질을 의미합니다. 도예에서 성형의 기본이 되는 중요한 특성입니다.
가마
도자기를 굽는 시설로, 전기가마, 가스가마, 장작가마, 톱밥가마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가죽 경도
성형된 점토가 반건조 상태로, 가죽처럼 약간 단단하고 유연한 상태를 말합니다. 정형 작업을 하기에 가장 적합한 상태입니다.
각화
도자기 표면에 문양을 조각칼로 새기는 장식 기법입니다.
고령토
백자의 원료로 사용되는 흰색 점토로, 카올린(kaolin)이라고도 합니다. 내화성이 높고 순수한 백색을 띱니다.
고온소성
1200℃ 이상의 높은 온도에서 도자기를 구워내는 과정으로, 자기나 석기를 제작할 때 사용됩니다.
고화도 소성
1200℃ 이상의 높은 온도에서 도자기를 구워내는 방식으로, 자기나 석기를 만들 때 사용됩니다.
도자기의 밑부분에 있는 받침 부분으로, 안정적으로 세울 수 있게 해줍니다.
귀얄기법
붓으로 화장토를 바르는 전통적인 분청사기 장식 기법으로, 자유로운 붓 자국이 특징입니다.

녹로
도자기를 성형할 때 사용하는 회전판. 전기로 작동하는 전기녹로와 발로 돌리는 물레로 구분됩니다.
납유
납을 함유한 유약으로, 낮은 온도에서 용융되며 광택이 풍부합니다. 현대에는 독성 때문에 사용이 제한됩니다.
내화갑
고온 소성 시 도자기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하는 내화성 받침대입니다.
내화벽돌
고온에 견딜 수 있는 특수 벽돌로, 가마의 내부 구조를 만드는 데 사용됩니다.

달걀껍질 백자
매우 얇고 투명한 백자로, 빛을 통과시킬 정도로 얇게 제작된 고급 백자를 말합니다.
도침
점토를 반죽하고 공기를 빼는 작업을 하는 판으로, 성형 전 준비 과정에서 사용됩니다.
도화선
도자기에 그림을 그릴 때 사용하는 선을 의미하며, 주로 철화나 청화 장식에서 활용됩니다.
돌가루유
돌을 가루 내어 만든 유약으로, 전통 도자기에서 자연스러운 질감을 표현하는 데 사용됩니다.
두께 게이지
점토의 두께를 측정하는 도구로, 일정한 두께로 성형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랍뜨기법
밀랍을 이용해 도자기 표면에 장식하는 전통 기법입니다. 밀랍이 발린 부분은 유약이 스며들지 않아 독특한 패턴을 만들어냅니다.
러그 도구
점토 표면에 질감을 주거나 다듬기 위해 사용하는 리블 도구의 일종입니다.
리덕션
환원 소성을 의미하며,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 도자기를 굽는 방식입니다. 구리 발색 유약이나 청자 유약에서 특히 중요합니다.

물레
점토를 성형하는 데 사용하는 회전 장치로, 전통적으로는 발로 돌리는 형태였으나 현대에는 전동식이 많이 사용됩니다.
물레성형
회전하는 물레 위에서 점토를 성형하는 방식으로, 원통형 용기를 만드는 데 효과적입니다.
모골
청화백자 같은 안료 그림을 그릴 때 사용하는 가는 붓을 지칭합니다.
무늬 롤러
점토 표면에 반복적인 패턴을 찍어내는 데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문양토
다양한 안료를 섞어 만든 색깔 있는 점토로, 여러 색상의 점토를 혼합하여 문양을 만들 때 사용합니다.

백자
하얀 백토로 만들어진 도자기로, 순백의 아름다움을 가진 한국 도자기의 대표적인 유형입니다.
분청사기
흰 흙물을 바른 회청색 도자기로, 자유로운 문양과 장식이 특징인 한국 전통 도자기입니다.
비스크 웨어
유약을 바르기 전에 초벌구이한 도자기를 의미합니다.
박지기법
분청사기의 장식 기법 중 하나로, 백토로 표면을 덮은 후 문양 부분의 백토를 긁어내어 문양을 드러내는 방식입니다.
바퀴 트림
물레 위에서 굳은 그릇을 다시 회전시켜 바깥면을 다듬는 작업입니다.
벌집 구조
가마 내부에 도자기를 효율적으로 적재하기 위한 선반 구조를 말합니다.

소성
점토를 굽는 과정으로, 초벌소성과 재벌소성으로 나뉩니다. 온도와 시간에 따라 도자기의 특성이 결정됩니다.
시유
도자기의 표면에 유약을 바르는 과정을 말합니다. 디핑, 스프레이, 붓칠 등 다양한 방법이 있습니다.
상감기법
도자기 표면에 문양을 파내고 다른 색의 흙으로 메우는 장식 기법으로, 고려청자의 대표적인 기법입니다.
석기
1100-1300℃ 사이에서 구워지는 단단한 도자기로, 수분 흡수율이 낮고 내구성이 높습니다.
수레질
점토를 반죽하는 과정으로, 점토 내의 공기를 제거하고 균일한 상태로 만듭니다.
스그라피토
도자기 표면에 화장토를 바른 후 긁어내어 문양을 만드는 장식 기법입니다.
슬립
점토를 물에 개어 만든 액체 상태의 점토를 말하며, 접착제나 장식 재료로 사용됩니다.
슬립캐스팅
석고 틀에 액체 상태의 점토를 부어 성형하는 방법으로, 동일한 형태를 반복 생산할 때 유용합니다.

연질 도자기
낮은 온도(1100°C 이하)에서 구워진 도자기로, 경질 도자기보다 부드럽고 약한 성질을 가집니다.
옹기
주로 저장용으로 사용되는 전통 도자기로, 숨을 쉬는 특성이 있어 발효식품 저장에 적합합니다.
유약
도자기 표면에 바르는 유리질 재료로, 방수성과 내구성을 높이고 장식 효과를 줍니다.
유탁
유약을 물에 개어 액체 상태로 만든 것을 말합니다. 시유 작업에 사용됩니다.
유환원
유약 속 금속 성분이 환원되어 특정 색상으로 발색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중벽
도자기의 내부와 외부에 이중으로 벽을 만드는 기법으로, 보온성과 디자인적 특성을 높입니다.
이장
액체 상태의 점토로, 주로 슬립캐스팅에 사용됩니다.

자기
높은 온도(1200°C 이상)에서 구워진 백색 도자기로, 단단하고 반투명한 특성을 가집니다.
정형
성형 후 기물의 형태를 다듬는 작업으로, 굽 깎기, 면 다듬기 등의 과정이 포함됩니다.
점토
도자기의 주 재료로, 흙과 물의 혼합물입니다. 다양한 종류와 특성이 있습니다.
장석유
장석을 주성분으로 하는 유약으로, 전통 도자기에서 널리 사용됩니다.
조각 도구
점토 표면에 무늬를 새기거나 세부 형태를 다듬는 데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주입 성형
액체 상태의 점토를 틀에 부어 성형하는 방법으로, 복잡한 형태나 중공 구조를 만들 때 사용합니다.

청자
비취색의 유약이 특징인 고려시대 대표 도자기로, 우아한 형태와 비색(翡色)이 특징입니다.
초벌구이
유약을 바르기 전 낮은 온도(800-900°C)에서 첫 번째로 구워내는 과정입니다.
청화
코발트 안료로 그림을 그린 후 투명유를 발라 굽는 청화백자 장식 기법입니다.
철화
산화철 안료로 그림을 그린 후 유약을 발라 굽는 장식 기법입니다.
채토
도자기 재료로 사용할 흙을 캐는 작업을 말합니다.

코일링
점토를 긴 끈 모양으로 만들어 쌓아올리며 성형하는 수작업 기법입니다.
크랙 유약
의도적으로 유약 표면에 균열 효과를 내는 특수 유약으로, 장식적 요소로 활용됩니다.
콘 온도계
가마 내부의 온도를 측정하기 위한 원뿔 모양의 도구로, 특정 온도에서 녹아내리는 성질을 이용합니다.

테라코타
산화철이 풍부한 붉은 점토로 만든 도자기로, 주로 낮은 온도에서 소성됩니다.
투명유
색이 없고 투명한 유약으로, 도자기 본체의 색과 질감을 그대로 살리면서 광택을 더합니다.
틀 성형
미리 만들어진 틀을 이용해 도자기를 만드는 방식으로, 일관된 형태를 대량 생산할 때 효과적입니다.

파이어링
도자기를 가마에서 굽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핀칭
점토를 손으로 꼬집고 눌러 성형하는 기본적인 수작업 기법입니다.
편 수집
깨진 도자기 조각(편)을 수집하고 연구하는 고고학적 활동을 말합니다.
피팅
유약이 터지거나 벗겨지는 현상으로, 점토와 유약의 수축률 차이로 인해 발생합니다.

항아리
저장용 큰 그릇으로, 주로 음식물이나 곡식 보관에 사용되었던 전통 도자기 용기입니다.
흙물
점토를 물에 풀어 만든 액체로, 도자기 부분을 접합하거나 표면을 장식할 때 사용합니다.
화장토
도자기 표면에 바르는 흰색 또는 유색의 점토 슬립으로, 바탕색을 만들거나 장식 효과를 줍니다.
환원 소성
산소가 부족한 환경에서 도자기를 구워내는 방식으로, 특정 유약의 발색과 질감에 영향을 줍니다.
혼합 점토
여러 종류의 점토를 혼합하여 원하는 특성을 얻은 점토를 말합니다.
↑ 위로